본문 바로가기
책 - 게임 - 취미생활

[패션]초년 직장인 티 내지 않고 멋 내기 ① - 직장 내 드레스 코드

by 만술[ME] 2017. 6. 8.

제 블로그의 유입 키워드를 보면 <노모스 탕겐테> 리뷰 때문에 오시는 분들이 제법 많더군요. 그것에 관해 후배와 이야기 하다가 까르띠에 리뷰라도 하나 더 올리면 <시계 블로그>로 등극하겠다는 푸념을 하면서 이참에 아예 패션 블로그로 변신을 해볼까 생각한다는 농담을 했었습니다. 주제는 <아재가 말해주는 초년 직장인 티내지 않고 멋내기> 정도? 인터넷을 잠깐 뒤져보니 처음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들이나 소위 <아재>를 위한 이런 저런 내용을 담은 블로그, 특히 각종 패션 관련 업체와 업자들의 블로그는 넘쳐나더군요. 패션 쪽은 협찬이 짭짤한지 협찬을 (받는 것을) 목적으로 한 듯한 블로그들이 많았고 평범한 직장인 한달치 월급 이상을 투자해야 입을 수 있는 옷들을 소개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동호회는 늘 그렇듯 유명 브랜드와 비싼 제품에 대단 <로망>이 넘쳐났습니다.  

 

비슷비슷한 블로그들과 (노골적인 광고를 제외하면) 서로 베껴낸 듯한 글들을 보면서, 오래전 처음 직장생활을 시작할 때부터 지금까지 정장을 입고 출근해야 하는 직장 생활을 해왔으니, 실제 경험에 입각한, 그리고 관리자 쯤 되는 위치에서 바라보는 관점에서의 정장 패션에 대해서는 이야기할 내용이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제 전문분야도 아니고 딱히 소위 <옷질>이라는 것을 취미로 하지도 않으니 이론이나 정석이 아닌 그냥 경험에 의존한 이야기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기회가 될 때마다 이런 저런 이야기를 올릴까 합니다.)

 

*아울러 제가 남자이기에 여성의 복장에 대해서는 다룰 수 없습니다. 제가 경험이 없는 분야에 대해서는 쓰지 못할 뿐 성차별이 아니에요. 이전에 다니던 회사는 여직원은 유니폼을 입다가 폐지하고 여성의 경우에는 근무복장의 드레스코드가 거의 폐지되다시피 했었습니다. 여름에는 초미니 스커트는 안되지만 핫팬츠도 입고다니는 경우를 봤으니까요.    

 

오늘은 직장내의 기본적인 드레스 코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직장 마다 드레스 코드가 다르고, 회사가 규모가 있으면 같은 직장에서도 부서마다 드레스 코드가 다를 수 있습니다. 드레스 코드까지 달라지지는 않아도 부서마다의 관례가 있고 부서장에 따라 미묘한 관용성의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4계절이 있기에 계절별로 관용성에도 변화가 많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 직장이나 부서의 분위기를 파악하기 전까지는 가장 보수적인 스타일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너무 캐주얼 하다고 말이 나올 수는 있지만 모닝코트를 입고 출근 하지 않는 이상 너무 포멀하게 입었다고 뭐라하는 직장은 없으니까요. 그렇다고 <맨 인 블랙>으로 입으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상조회사에 다니시면 이런 드레스코드가 맞을지도 모릅니다만...

 

 

직장 내 옷 잘입는 제1의 법칙은 절대로 튀지 않게 입으라는 겁니다. 일반적으로 직장은 튀는 사람을 선호하지 않고 자신의 문화에 잘 섞여 지내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모든 복장은 <기본>에서 시작하세요. 제2의 법칙은 몸에 맞는 옷을 입는다는 겁니다. 몸에 안 맞는 천만원짜리 옷보다 몸에 잘맞는 만원짜리 옷이 더 낫습니다. 정말 예전에는 몸에 맞게만 입고다녀도 옷 잘입는다는 소리 들을 수 있을 정도로 다들 몸에 안맞게 정장을 입고 다녔습니다. 사실 지금도 젊은 층은 젊은 층대로 나이든 분들은 나이든 분들대로 몸에 잘 안맞는 옷을 많이들 입고 다닙니다. 젊은 층은 주로 작게 입고, 나이든 분들은 주로 크게 입죠.^^ 제3의 법칙은 브랜드는 숨기라는 겁니다. 비싼 브랜드 입고 다니는 직원을 좋아하는 직장은 없고, 브랜드가 들어나는 복장 자체가 그리 잘 입는 게 아닙니다.

 

 

①수트와 세퍼레이트

 

제 경험을 중심으로 이야기 하면 저는 기본적으로 수트(정장)를 입어야 하는 직장에서 시작했고 지금도 그런 직장에 다니고 있습니다. 세퍼레이트(콤비)도 허용되는 분위기였는데, 부서에 따라 다르지만 70% 이상의 직원은 수트로 입었습니다. 세퍼레이트로 입는 경우는 세련되고 멋스럽게 입기보다는 다들 뭔가 아재 풍으로 입는게 보통이었죠. 

 

정장을 입으라는 직장에서는 그냥 <양복>이면 되는 경우도 있지만 진짜 정장(수트)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직장에 따라 너무 심하게 튀지 않는 정도에서는 세퍼레이트를 허용하는 분위기입니다. 자켓의 색이나 디자인이 너무 블레이저라는 것이 확연하게 들어나거나 (번쩍이는 금단추!) 울 소재를 벗어난 바지보다는 적당한 색의 슬랙스에 수트에서 빌려온 듯한 느낌의 자켓 정도까지 허용하는 분위기죠. 제대로된 세퍼레이트 보다는 어딘지 짝 잃은 수트를 조합해서 입는 느낌들이 강하고 실제로 그렇게 입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렇다 보니 비즈니스의 느낌이 살면서 세퍼레이트를 멋지게 입은 직장인을 만나는 게 쉽지 않습니다. 어지간 하면 그냥 수트로 통일해서 입는 게 맵시도 살고 좋습니다. 세퍼레이트로 잘 입으려면 정말 감각있어야 하는데, 그러면 직장 분위기에 따라서 좀 튀는 느낌이기 쉽습니다.

 

멋은 있지만, 이러고 출근하면... 출근이 아니라 그냥 외출 복장도 이 정도면 많은 주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색은 전반적으로 겨울에는 어둡게, 여름에는 다소 밝은 색도 허용됩니다만, 여름에도 밝은 회색정도가 한계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여름이 아니라면 네이비도 밝은 계열은 좀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갈색도 검은색이나 회색에 가까운 색 아니면 좀 튀어 보일 수 있고, 직장이란 곳이 패션회사가 아니라면 튀게 입는 사람을 별로 좋게 보지 않는 경향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암녹색, 보랏빛이 섞인 네이비 정장까지는 입어봤는데, 당시야 은갈치 정장이 돌아다니던 시절이니 넘어갔지 지금처럼 무채색이 주도하는 트랜드에서는 시도하기 힘들 듯합니다. 그냥 네이비-차콜-그레이 수준에서 FW용은 좀 더 어둡게 SS용은 조금만 밝게 선택하는 게 좋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이 정도 색의 스펙트럼이 셔츠나 타이를 조합하기도 무난하고 편합니다. 정장은 계절별로 많으면 좋지만 적어도 두벌씩은 마련해서 돌려 입을 수 있어야 합니다.   

 

소재는 울(모) 100%가 좋습니다만 꼭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정에 따라 적절한 혼방을 입어도 됩니다.

 

 

②셔츠

 

황신혜와 나온 드라마를 통해 유동근이 잉크 블루셔츠를 유행시키기 전까지는 셔츠는 흰색이 대세였습니다. 직장생활 초년에는 평범한 흰색 셔츠가 싫어서 옥스퍼드 버튼다운을 시도했다가 욕먹고, 시어서커 재질의 스트라이프를 시도했다가 욕먹고 했습니다. 받아들여지는 정도는 흐린색 솔리드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유동근 덕분에 사장과 임원까지 잉크 블루셔츠를 입고 직원들에게도 흰색말고 입으면 이틀입고 빨아도 되니 환경오염도 줄이고 좋지 않냐고 권장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이 점에서 유동근은 우리나라 셔츠 문화를 한 단계 끌어올린 공로자로 인정해야 합니다. 

 

정장을 입어야 하는 일반적인 직장의 추세는 셔츠에 대한 관용성이 높아진 느낌입니다. 패턴은 스트라이프는 물론이고 버버리 체크정도가 아니라면 단색의 잔 체크 정도는 용인되고, 색상도 원색만 아니라 적당히 톤다운 된 색이라면 여러 가지 색이 다 용인되는 분위기입니다. 버튼 다운에 넥타이는 요즘은 전혀 문제가 안되고, 잘만 하면 오히려 멋스럽게 보일 수도 있구요. 재질은 여전히 면이나 면혼방 정도이고 여름이라면 린넨 정도도 용인됩니다. 

 

여름에는 대부분의 직장이 반팔 셔츠를 용인할텐데, 지금 다니는 회사는 사장도 반팔을 입지만 (반면 임원들은 긴팔만 입습니다) 이전 회사는 임원 정도 되면 여름에도 긴팔만 입었습니다.  팀장 정도면 부서에 따라 기술부서는 반팔, 관리부서는 경영진에 보고가 많냐 아니냐에 따라 갈렸던 것 같네요. 저는 과장대우 이후로는 반팔을 안입어 본 것 같고 (드레스 코드 때문이 아니라 순전히 반팔이 멋이 없어 보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이전회사에서 차장 진급 이후에는 <흰> 긴팔 셔츠 이외에 입어본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습니다. (과장 말호봉에 팀장으로 벼락 출세를 했던 영향이 큽니다) 오히려 지금 회사에서는 임원이지만 흰색을 위주로 라이트 블루나 런던 스트라이프(블루, 그레이) 정도까지 입고 있습니다. 마음은 여름에 샴브레이 셔츠를 시도해 보고 싶지만 그냥 마음뿐이죠.^^ 일반적으로 단색 셔츠가 무난한데, 수트와 넥타이를 매치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진한 스트라이프나 체크가 들어가면 어울리는 수트와 넥타이를 맞추는 게 조금 더 까다로와지죠.

 

이 셔츠에 어울리는 넥타이를 추천해달라고요?

 

칼라는 컷어웨이 이상은 좀 부담스러운 느낌입니다. 일단 컷어웨이를 입는다는 것 자체가 뭔가 패션에 관심이 있다는 것으로 보이니까요. 잉글리시 스프레드(우리식으로 와이드) 또는 스프레드(우리식으로 세미와이드) 정도면 됩니다. 사실 업체마다 각도가 다 달라서 직접 보지 않으면 어떤 업체의 세미와이드가 다른 업체의 와이드 보다 더 넓을 수도 있습니다. 포워드 포인트(레귤러)는 요즘 추세에는 좀 답답해 보일 수 있는 듯 합니다만, 자기 얼굴에 어울리는 칼라가 중요하겠죠. 

 

당을 옮기는 것 못지 않게 패션에 관심이 많으신 의원님 - 컷어웨이 칼라와 굵직한 딤플의 조화. (사진은 블로그의 정치적인 입장과 전혀 무관하며 패션의 사례를 보여주기 위한 용도입니다.)

 

넥타이를 해야하는 직장이면, 버튼 다운이 아닌 것으로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바쁘게 출근 준비하면서 단추 채우는 것도 일이고 타이를 맨 모습을 예쁘게 연출하기도 상대적으로 어렵습니다.  

 

소재는 일반적으로 면 100%를 추천합니다만, 혼방의 경우도 장점이 있습니다. 가격도 저렴하고 구김이나 다림질에도 유리하죠. 만져봤을 때 너무 합성섬유의 느낌이 나는 재질만 피하면 혼방도 나쁘지 않습니다.

 

 

③넥타이

 

면접이 아닌 이상 넥타이에 대한 제약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레지멘탈이나 체크, 아니면 도트를 비롯한 잔잔한 무늬를 선호하는 듯합니다. 솔리드 계열은 패션에 관심 있으면 거의 필수라고 할 수 있는 네이비 솔리드 조차 직장에서는 흔하지 않아 오히려 멋내기 아이템으로 좋습니다. 솔리드라면 적당히 직조감이나 재질의 특성이 살아 있는 것을 택하는 게 무난할 겁니다. 저렴한 솔리드 타이는 쉽게 저렴한 느낌이 나니 저가의 솔리드 타이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포인트 타이는 여태껏 직장에서는 본 적이 없는데, 아무래도 좀 튀어 보일 것 같습니다. 화려한 페이즐리는 쉽게 소화하기 힘드니 일단 자신이 붙을 때까지 미뤄두세요.

 

 

요미 기지의 유니폼으로 갈아입고 침투한 바벨2세 - 요미는 원포인트 타이를 유니폼으로 선택한 패셔니스타였단 말입니다!

 

 

니트 타이는 10여년 전에 재질만 울로된 니트였고 형태는 라이닝까지 있는 일반 타이 스타일로 된 제품을 했을 때 <양말>, <목도리> 소리를 들었고, 지금은 그 정도는 크게 뭐라하는 분위기는 아니지만, 만약 전형적인 니트타이를 하면 대부분의 타이를 해야하는 직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타이를 해야하는 직장이라면 너무 캐주얼 하다는 이야기를 들을 것이고, 여름철 등에 타이가 필요없는 드레스 코드라면 쓸데없이 멋부린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사무실에서 자켓을 벗지 않는 직장이라면 니트타이도 시도해볼만한데 아마 대부분의 직장이 사무실에서는 자켓을 벗고 일하기 때문에 니트타이는 트랜디한 직장이 아니라면 아직까지는 조심스러운 아이템인 듯합니다.

 

팀장급 이상에서는 아직도 반짝이가 살짝 들어가거나, D회사 특유의 딸랑이 장식이 붙은 타이를 쉽게 볼 수 있는데,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넥타이를 10여종 돌려가며 하는 것이 아니라면, 가능한 대로 단순한 것으로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당연하지만 가지고 있는 정장과 셔츠의 색상과 패턴에 맞는 타이를 골라야합니다. 무조건 예쁘다고 사는 게 아니라 말이죠. 조금 멋을 내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려면 단순한 실크에 무늬를 프린팅한 것보다 무늬를 직조로 표현하는 등 원단의 짜임에서 디자인적 요소가 들어나는 것을 고르면 됩니다. 

 

전형적인 국산원단의 레지멘탈 타이라도 살짝 직조감이 들어가면 좀 더 고급스러워 보입니다.

 

 

④벨트, 구두, 가방, 시계

 

벨트는 평범한 가죽 벨트이면 됩니다. 버클은 많은 곳에서 <정장용>이라고 팔고 많은 직장인들이 실제로 정장에 하고 다니는 앞이 막힌 스타일이 아닌 고리형을 택하면 됩니다. 제3의 법칙에 따라 <난 명품 벨트 찼어요> 하고 홍보하고 다니는 디자인은 피하시고, 검은색이든 갈색이든 구두색과 맞추면 좋습니다. 경험에 의하면 벨트까지 맞추는 경우가 많지는 않지만 맞추면 더 세련되 보이며, 로고 들어나는 비싼 벨트보다는 품질 좋은 적당한 벨트를 구두에 맞추는 게 더 옷 잘 입는 겁니다.

 

앞이 막힌 벨트는 당신의 앞길도 막아버릴지도 몰라요.^^

 

 

나는야 명품벨트 차는 남자!

 

 

 

구두는 영화 <킹스맨>에 나온 <브로그 없는 옥스퍼드>가 기본입니다. 구두도 발 건강을 생각해서 바꿔가며 신어야 하니 검은 색 하나, 진한 갈색 하나 정도 구비하면 좋습니다. 둘 다 브로그 없으면 심심할 수 있으니 갈색 정도는 약간의 브로그 있는 것을 골라도 됩니다. 검은 색은 결혼, 상가 등에 갈 때 신는 경우가 많으니 브로그 없는 것을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시계는 차는 게 좋은 점이 많습니다. 휴대전화가 더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고 이런 저런 알림도 받을 수 있지만, 시계를 차면 상대방이 눈치채지 않게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회의, 연주회장, 데이트 등 이런 저런 상황에 요긴하죠. 아울러 시계는 정장입는 직장에 다니는 남자가 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멋내기 아이템이기도 하죠.

 

롤렉스 서브마리너 청콤을 정장에 잘 어울린다고 차고 다니는 세상입니다만, 심플한 가죽 밴드 드레스 워치가 기본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서브마리너 청콤 보다는 브라이틀링 네비타이머가 더 정장에 어울립니다. 턱시도에 다이버를 차는 첩보원도 콤비나 골드모델은 안차고 검은 다이얼 정도로 만족하니 정 다이버 시계가 차고 싶으면 소위 말하는 <검판 모델> 정도로 만족하시기 바랍니다. 요즘 같은 추세에서는 IWC 마크류의 파일럿 시계도 나쁘지 않은 선택으로 보입니다. 

 

역시 정장에는 청콤이 진리죠!

 

 

외부에서 회의를 할 일이 있거나, 뭔가를 넣어가지고 출퇴근을 한다면 서류가방은 필수입니다. 클라이언트 등에게 브리핑을 해야 할 상황인 경우, 서류를 서류봉투에서 꺼내는 건 상대에게 어딘지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는 인상을 줍니다. 제가 경험한 바에 의하면 가장 멋스럽게 상대에게 서류를 건네기는 방법은 가죽 브리프케이스를 회의 탁자에 올려놓은 뒤, 브리프케이스 뚜껑(지퍼가 아닌 잠금장치가 좋습니다)을 열어 서류를 꺼내는 모습을 보여주는 겁니다. 지퍼로 여닫는 것 보다 시간은 좀 더 소요되지만, 상대 입장에서는 그 꺼내는 과정을 주목할 수 밖에 없고 자신에게 제공되는 서류를 상대가 정성스럽고 소중하게 다룬다는 인상을 받기에 뭔가 중요한 것을 넘겨 받는 인상을 받습니다.  

 

뚜껑이 달려있는 고급스러운 서류가방이 제일 좋지만, 없으면 노트북 가방이라도 이용하는 것이 서류봉투 보다는 낫습니다. 이 경우 가방의 색도 구두, 벨트와 맞추면 좋겠지만, 구두에 따라 가방을 몇 개 구입할 수도 없고, 소지품을 구두에 맞춰 매일 이리저리 옮기는 것도 일이니, 적당한 디자인과 색상의 가방이면 됩니다. 다만, 백팩은 디자인도 멋 없고, 수트에 착용하면 수트도 망가지고 자세도 안나오니 꼭 드는 가방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오로비앙코나 필슨류의 가방은 기능은 모르겠지만 디자인으로는 정장과 잘 어울린다고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 가격이면 정장에 더 잘 어울리는 가죽가방을 살 수 있습니다. 아니면 빌링햄 206이나 306을 정장에 어울린다고 주장하며 들고 다니겠습니다.^^ (106은 A4가 안들어가니 제외^^)

 

두툼한 서류를 수납하고도 여유 공간이 남아 SLR과 렌즈 몇개쯤은 넣어 다닐 수 있는 빌링햄의 <서류>가방들

</서류>

 

지금까지 내용은 원론적인 사항을 중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수트에 다이버 시계는 007도 차는데 무슨 문제냐, 패셔니스타들 보면 수트에 스니커즈도 잘만 신고 다니더라 하고 생각하는 분들이면, 이 글이 도움이 되지 않을 겁니다. 다만 <취향>의 의미를 확장하기 시작하면, 샐러드 포크로 스테이크를 찍어먹어도, 와인을 머그잔에 따라 마셔도 그냥 취향일 뿐이죠. 하지만, 저는 너무나 많은 무지와 격이 없음, 무매너가 개인적 취향이라는 이름아래 용인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빨간 옷을 입기 좋아하는 것은 취향일 수 있지만, 장례식에 빨간 옷을 입고 가는 것은 취향이 될 수도, 패션 센스가 될 수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MF[M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