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 이야기93 [오디오]사운드 포럼 피아노 그간 오디오에 등한시 했는데, 오랫만에 현실적으로 땡기는 녀석이 출시 예고가 되어 올려봅니다.현재 저는 사운드포럼의 로돌포 2웨이 SE버전을 사용중인데, 로돌포가오디오 테크놀로지(스카닝)의 유닛과 리본 트위터의 결합이다 보니까 아무래도 아큐톤이 자꾸 끌리는게 사실입니다. 허나 아큐톤은 스카닝과 함께 비싸기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워하는 유닛인지라그냥 내지르기도 쉽지 않고 운용하기도 만만치는 않습니다. 사운드 포럼에는 아큐톤을 이용한 하급기종에는 2웨이형인 비올라가 있고 (솔직히 사운드 포럼 제품 아니면 아큐톤이나 스카닝이 박힌 스피커는 도저히 사정권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위로는 3웨이 4스피커인 첼로라든지, 더 상급기종인 콘트라베이스가 있습니다만 3웨이는 현재 청취 환경에서 무리고, 2웨이 2스피커인 비올라.. 2006. 2. 16. [AV]블루레이 지역코드 확정 DVD를 대체하는 차세대 포멧을 놓고 블루레이 진영과 HD-DVD진영의 대결이 한창인 것은 다들 아시죠? 지금 라스베가스에서 열리고 있는 CES에서 블루레이의 지역코드가 확정되었다고 합니다. 아시다시피 DVD에 있어서는 미국 등이 지역코드1이고, 저희 나라는 지역코드3이 었는데,블루레이의 지역코드는 한층 단순화되어 4개의 지역으로만 나뉜다고 하네요. 지역 1 : 북미지역, 남미지역, 동아시아 (중국제외) 지역 2 : 유럽 (터키포함), 아프리카 지역 3 : 중국, 러시아 및 기타국가 지역 4 :기존의 지역 0과 같은 기능으로 어느곳이든 재생가능 이렇게 지역코드 1에 미국은 물론 일본과 함께 우리나라가 포함되게 되어 과거 아마존 등에서 DVD를 구입하면서 지역코드를 신경쓰거나 코드프리를 해야 했던 상황에 .. 2006. 1. 6. [오디오]사운드포럼+에이프릴 공동 프로젝트 시청회 지난 12월29일 포스트에서 언급 했던 사운드포럼과 에이프릴뮤직의 공동 프로젝트 중 하나로 제작되는 스피커 "Statement Model One"의 시청회가 열린다고 합니다. 우선 시청회에 대해 말씀드리면 시각 : 2006년 1월 5일 오후 3시 부터 7시까지...(편한 시간에 아무때나 들르시길) 장소 : 서울 강남구 삼성동 HEIS 558-4581 전시 : Statement Model One Speaker 뭐 이정도구요... 간단한 스펙에 대해 언급하는게 더 나아 보입니다. 우선 유닛들을 보면 이번 프로젝트가 매우 전략적으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미드/우퍼는 오디오 테크놀로지(스카닝)의 4H인데 과르네리 오마쥬, 파르지팔 등의 유명 스피커에 채용 되었던 전설적인 유닛이죠. 제가 쓰는 로돌.. 2006. 1. 3. [오디오]이 바닥의 이런 저런 일들 그간 오디오쪽은 너무 무관심 했던 것 같습니다. 한정된 예산을 여러 취미에 분산시키다 보니 요즘 한창 투자하고 있는 사진에 비해 오디오쪽은 등한시 될 수 밖에 없었죠. 그래도 얼마전에는 아이팟 나노를 구입도 했고 (테스트만 하고 어머님 드렸습니다) 아직도 회사직원들 상담(?)은 해주고 있답니다. 아무튼... 근자에 들어온 몇가지 소식을 정리할까 합니다. (1)사운드포럼과 에이프릴의 제휴 자칭 부품가게식 때려박기 신공의 최고수인 사운드포럼과 국내 오디오로서는 해외에서도 통하는 브랜드 파워와 함께 많은 소비자 로열티를 가지고 있는 에이프릴 뮤직이 제휴를 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그간 에이프릴은 앰프와 소스쪽에서는 기술력과 함께 많은 제품을 출시했지만 스피커쪽은 이런 저런 스피커 업체와 제휴를 해왔었는데 이번에.. 2005. 12. 29. [오디오]아이팟 나노 (iPod Nano) 출시 지난 9월 7일 (현지시각) 드디어 소문만 무성하던 아이팟 나노(iPod Nano)가 출시 되었습니다. 삼성과 플래쉬 메모리에 대한 제휴를하면서 아이팟 셔플에 이은 차세대 플래쉬 메모리 기반의 iPod에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어느 누구도 어떤 모습일지는 알 수 없었죠. 이번에 출시된 iPod nano는 기존 컬러버전의 iPod의 디자인을 그대로 계승하면서도 휴대성에 중점을 둔게 돗보입니다. 플래쉬 메모리 기반이기 때문에 작고 가볍다는 것만이 다를 뿐이죠. 헌데 여타의 플래쉬 기반 MP3 플레이어들이 512MB 정도를 제공하는데 반해, iPod nano는 기존의 미니버전에 대한 대체품이란 성격을 분명히 할 수 있도록 2GB와 4GB로 출시되었습니다. 가장 인상 깊은 싸이즈는세로 8.9cm, 가로 4cm에 .. 2005. 9. 8. [오디오]Audionet VIP G2 오랫만에독일의 오디오 브랜드인 오디오넷(Audionet)의 미국 홈페이지에 가보니 드뎌 제가 기다리던유니버셜 플레이어인 VIPG2가 출시되었더군요. 기존의 오디오넷 소스기기 제품군은 CD 전용 플레이어인 ART V2 (Aligned Resonance Transport Version 2라는 거창한 이름의 약자랍니다^^)와 DVD-V / DVD-A 플레이어인 (물론 CD도 되죠) VIP (Versatile Integrated Player라는 거창한 이름의 약자)로 대별되었습니다. 국내에서 ART V2의 명성이 꽤 높았던 것을 생각하면 VIP는 사실상 국내 들어온 기기가 있을까 할 정도로 알려지지 않았고, 해외 리뷰에서좋은 평판을 받고는 있었지만 SACD가 지원안되었기에 저로서도 그냥 그저그렇게 생각했죠. 오.. 2005. 9. 6. [오디오]아이팟을 위한 새로운 FM 전송기 - iTripLCD 아이팟의 액서서리로 유명한 그리핀 테크놀로지에서 수년간 아이팟용 FM Transmitter 부분을 석권했던 iTrip의 차기 버전을 곧 출시한다고 합니다. iTrip은 아이팟의 윗부분에 장착해서 차량 및 가정용 라디오의 FM 주파수와동조를 통해 아이팟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라디오를 통해 들을 수 있게 해주는 제품으로 차량이나 집에서 간편하게 아이팟을 기존 시스템에 접목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습니다.차량 여럿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한 차량에서 아이팟과 iTrip으로 방송을 하면 주변 차량에서도 주파수만 동조를 통해 음악을 들을 수 있어 여행 등에 요긴하게 쓰일 수 있었죠. iTripLCD라는 이름이 붙은 이번 새로운 버전의 iTrip은 이름처럼 기존의 iTrip에 LCD가 달린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2005. 7. 28. [오디오]iTMS 다운로드 5억곡 돌파, 그리고... 애플(Apple)의음악 다운로드 서비스인 iTMS(iTunes Music Store)의 다운로드 곡수가 5억곡을 돌파했다고 합니다. 과연 유료 음악 다운로드 서비스가 성공할 수 있겠냐는 우려속에 (솔직히 실패를 점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죠) 오픈한지 2년정도 밖에 안된 것을 생각하면, 더구나 iTMS 서비스가 제공되는 나라가 19개국 밖에 안된다는 것을 생각하면 정말 경이적인 기록이라 할 수 있습니다. iTMS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 배타성에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iTMS는 iTunes와 iPod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전용 서비스였던 것이죠. 때문에 애플은 음악판매의 수익 대부분을 음반사에 돌려주고 (따라서 음반사는 애플에 협조적일 수 밖에 없죠) 실제 수익은 아이팟을 팔아 챙기는 구조죠.. 2005. 7. 19. [오디오]Furutech CD 탈자기(Disc Demagnetizer) RD-2 집에서 비디오 테이프를 가장 빠르게 지우는 방법이 무었일까요? 많은 방법이 있겠지만, 아마도 일본의 후루텍(Furutech)에서 나온 탈자기(Disc Demagnetizer) RD-1 또는 RD-2를 사용하는 방법일 듯합니다. 오디오파일들을 위한 또하나의 장난감으로 나온 RD-1과 RD-2는 디스크에남아있는 자기성분을 없애 플레이시 음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제품입니다. 원래 RD-1은 220V용, RD-2는 110V용으로 나왔다고 하는데 내부구조와 부품사용상 RD-2가 조금 더 좋으며 따라서 국내에는 RD-2의 전원부를 220V용으로 개조한 RD-2 SE버전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우선 모양을 보면 아주 고급스럽지는 않지만 일본 오디오기기를 떠올리면 항상 생각나는 샴폐인 골드풍의 색상에 윗부분은 CD나 DV.. 2005. 7. 6. [오디오]국산 SACD 플레이어의 시대가 열리나? 그간 SACD플레이어의 시장은 ①일본 등지의 가전 회사에서 내놓는 DVD플레이어의 부속기능으로서의 SACD 플레이어와 ②유럽 및 미국 등지의 오디오 전문업체에서 내놓는전문 하이파이 제품으로서의 SACD 플레이어로 대별될 수 있었습니다. 솔직히 DVD 플레이어의 부속기능으로서의 SACD 플레이어는 진정한 의미로서 오디오파일들에게 어필하지는 못했고, 유명 브랜드의 SACD 플레이어들은 그 기술과 메카니즘의원천을 생각할 때 지나치게고가인게 사실이었죠. 왜냐하면 결국 대부분의 특성상 SACD 플레이어의 메카니즘은 (골드문트의 제품들까지도) 파이오니어의 DVD 플레이어 메카니즘을 기반으로 오디오 아날로그부나 전원부를 개조한 것에 불과했고, 소니 999es가 1700불을 투자해 아날로그부와 전원부를 업그레이드 하면.. 2005. 6. 14. [오디오]LAT AC-2 mk II 파워케이블 요즘 사운드포럼에서 팍팍밀어주고 있는 케이블에 LAT가 있습니다.미국의 케이블 회사인데사용자들 사이에서는10배이상의 가격을 주어야 하는 케이블들에 비해 우수하지만 너무 가격이 낮은 것이 단점이라 지적될 정도로 호평이 나있는 제품이죠. 암튼 사운드포럼 같은 제작자의 입장에서 자사의 제품군에 체택할 정도라면 단순한 가격대 성능을 초월하는 무엇인가가 있게 마련이죠. 사운드포럼 사장님도 달변으로 유명한데 LAT의웹싸이트의 글들을 LAT사장이 쓴것이라면 그 사장님의 글발도 만만치는 않은 듯합니다.수치와 엄한 이론을 들이대지는 않으면서도 너무 대중적인 언어는 아닌, 전문가 티를 팍팍 풍기면서 논리적이고, 설득력있게 글을 쓴다는게 쉽지는 않은 일이죠. LAT 웹에 올라와 있는 글들을 읽다보면 그 케이블들을 한아름 사.. 2005. 6. 10. [오디오]아이팟 카메라 커넥터 (iPod Camera Connector) Audiophile Life라는 테마보다는 Books & Games 테마쪽이 어울릴 내용이지만 아이팟(iPod)의 악세서리에 대한 내용이라 이 테마에포스트해 봅니다. 처음 아이팟 포토가 나왔을 때 고려한 사항중 하나가 ①기왕이면 칼라, ②앨범 자켓을 볼 수 있는 기능, ③카메라 보조 저장장치로서의 활용성이었습니다.때문에 발매 예정으로되어있던 아이팟 카메라 커넥터(iPod Camera Connector)의 발매를 기다리고 있었죠. 다들 기다렸기 때문인지, 아니면애플코리아가 수요예측을 잘못했기 때문인지 1차분이 금방 동이나고 가까스로 2차 물량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구성에 비해서 싼 가격은 아니지만 벨킨의 메모리 리더에 비하면거의1/5로 저렴하기 때문에 가격적 메리트는 충분하다 하겠습니다. 우선 포장은.. 2005. 5. 16.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