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취미의 영역이 그렇지만 특히 오디오의 세계는 다양한 눈팅과 호갱으로 넘칩니다. 이더넷 케이블 1.5미터가 5백만 원 가까운 가격이 붙어 있기도 하고, 디지털 세계의 각종 노이즈는 엑셀 파일 전송이나 계산에 영향을 주지는 못하지만 (아니면 정부의 각종 보고 자료는 노이즈로 인한 왜곡된 결과 제대로된 예측을 못하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유독 음질에는 영향을 주기도 하죠. 이런 음질 저하를 위해서 때로는 우주선에도 적용되지 않을 것 같은 각종 <첨단기술>이 동원되기도 합니다. 물론 이 첨단기술의 대가는 엄청난 가격이죠.
얼마 전 소개한 코드 큐티스트는 동형의 제짝 시리즈로 헤드폰/스피커 겸용 앰프인 애니(Anni)와 포노스테이지인 휴이(Huei)라는 제품이 나와 있고, 이 제품들을 예쁘게 쌓아놓기 위한 제짝 거치대도 별도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국내 수입 정가는 무려 47만 원입니다. 시리즈를 깔 맛춤으로 예쁘게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살짝살짝 공간을 띄워 발열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해도 특별히 다른 기능이 있지는 않습니다. 코드의 최고가 DAC인 데이브는 제짝 크래들을 기본으로 제공하기는 하지만, 그거야 정가 2천 정도 하는 제품이니 그렇고, 큐티스트의 경우는 그나마 본품과 같이 구입하면 조금 저렴하게 살 수는 있습니다.


이런 정품 스탠드의 장점은 같은 시리즈를 위 그림처럼 쌓아 놓을 때는 최고인데, 단품만 사용할 때는 약간의 아쉬움이 있습니다. 데이브의 경우는 크래들에 살짝 기울어지게 수납하게 되어 있어 코드 제품 특유의 다채로운 불빛을 쉽게 볼 수 있는 반면, 큐티스트의 경우, 정품 스탠드에 거치를 하면 불빛 감상에 약간의 아쉬움이 남게 되죠. 이런 아쉬움을 이 바닥에서 그냥 넘길 리 없고, 써드 파티 제품으로 큐티스트를 기울여 장착할 수 있는 크래들이 나왔습니다. 다행히 가격은 조금 저렴해서 27만 원이네요. 물론, 옵션인 스파이크를 장착하면 30만 원이 넘어갑니다.


어차피 큐티스트를 단품으로 사용하기에 딱히 정품 거치대가 필요치는 않고, 그 돈을 쓸 생각도 없지만 리클라이너에 앉아 음악을 들을 때 큐티스트의 불빛을 쉽게 볼 수 있으면 그럴듯하겠다는 생각은 들었습니다. 아울러 발열도 막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고요. 그래서 집안에서 뭔가 없을지 뒤지다 보니 예전 회사에서 임원 세미나에서 받은 휴대용 노트북/태블릿 거치대가 생각났습니다. 그것을 이용해 큐티스트를 거치하니 아쉬운 대로 그럴듯한 모양이 나오더군요.

단 하나 문제는 큐티스트가 상시 전원을 켜놓는 제품이라 24시간 저 불빛이 나온다는 건데... 뭐 가족들이 양해만 해주면 되겠습니다. 원한다면 "빨간 불을 켜줄까, 파란 불을 켜줄까, 아니면 노란 불을 켜줄까" 정도는 물어줄 수 있지요.^^
'오디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디오]하이파이맨 HE1000se 평판형 헤드폰 (4) | 2025.03.17 |
---|---|
[오디오]음악 애호가의 오피오파일 연대기 (번외편) - 케이블 이야기 (2) | 2025.03.01 |
[오디오]Chord Qutest DAC (코드 큐티스트 DAC) (8) | 2025.02.25 |
[오디오]음악 애호가의 오디오파일 연대기 (2) (4) | 2025.02.15 |
[오디오] GEEK 16 awg dual 3.5 헤드폰 케이블 (4) | 2025.01.15 |
댓글